Contents

실패관리와 성공관리: 실패의 유익함과 성공의 해로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이준수 / Paul Miesing / 이승주 / 정권(Auth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준수-
dc.contributor.authorPaul Miesing-
dc.contributor.author이승주-
dc.contributor.author정권-
dc.date.available2021-02-08T07:21:12Z-
dc.date.available2021-02-08T07:21:16Z-
dc.date.issued2021-01-
dc.identifier.isbn979-11-303-1170-8-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41475-
dc.description.abstract성공과 실패를 쉽게 정의하기는 힘들다. 이는 사람마다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기준이 다양하기 때문이며, 더 나아가 다음의 두 가지 역설 때문일 것이다. 첫 번째 역설은 실패 덕분에 훗날 성공하는 경우다. 두 번째 역설은 성공 때문에 나중에 실패하는 경우다. 우리는 이러한 두 가지 역설을 일상 속에서 맞닥뜨리고 대응하며 산다. 이렇게 성공과 실패의 역설과 아이러니 속에서 사는 것을 피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하면 거꾸로 이 역설들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위와 같은 질문에 보다 체계적으로 답하기 위한 시도로서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되었다. 저자들은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많은 사례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이 데이터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개념과 차원들의 질서 있는 패턴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실패관리(Failure Management, FM)’와 ‘성공관리(Success Management, SM)’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요약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만들어 제안하였다. 요약하면, 실패관리는 ‘실패(즉, 현실이 목표나 기대보다 열등한 상태)의 이로운 점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이용하는 방법’이며, 성공관리는 ‘성공(즉, 현실이 목표나 기대보다 우월한 상태)의 해로운 점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막는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자들은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경영리더/실무자 및 MBA학생을 주요 독자로 하는 영문학술지(SSCI)인 Organizational Dynamics를 통해 수년에 걸쳐 3개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책은 학술지를 접할 기회가 적은 독자들을 위해 그 논문들을 국문으로 번역하고 이를 종합정리한 추가 챕터를 한데 묶어 출간한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내용들은 이미 많은 학자들과 일선경영자들이 널리 논의해왔고 일반인들도 익히 경험해온 상식들이다. 오히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실패관리’ 및 ‘성공관리’라는 단어 그 자체일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원리나 사례를 잘 알지 못하거나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실패관리’나 ‘성공관리’라는 두 개의 새로운 단어를 기억하고 염두에 두고 사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단어들이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렌즈 또는 프레임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주로 기업경영 분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지만, 실패관리와 성공관리의 프레임워크는 개인이나 사회 어느 분야에서나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믿는다. 아무쪼록 이 책이 ‘역설을 통한 역동적 지속가능성(dynamic sustainability through paradoxes)’을 추구하는 분들에게 작은 참고가 되기를 소망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HAPTER 01 기업가들의 실패관리 ∙∙∙ 이준수, 폴 마이싱 실패로부터 혜택을 누리기 9 우리는 왜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_9 우리는 어떻게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_11 우리는 실패로부터 무엇을 배우는가—과거 지향적 관점 _12 우리는 어떻게 실패를 활용하는가—미래 지향적 관점 _13 실패관리를 향하여 13 실패관리의 기본 체계 15 정의와 개념 _15 실패관리의 명제들 _16 실패관리와 기존 관리방법들의 비교 27 결론 29 참고문헌 _31 부록 1 실패관리의 명제들 _34 부록 2 위험(risk), 위기(crisis), 실패(failure)/성공(success)의 구분 _35 CHAPTER 02 실패관리를 위한 전략과 준비: 뒤늦은 깨달음에서 선견지명으로 ∙∙∙ 이준수 실패관리 소개 37 실패관리를 넘어서 38 질문1. 실패를 과거지향적으로 그리고 미래지향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창조할 수 있을까? 39 제1요인: 어떻게 실패에 반응하는가? _40 제2요인: 실패로부터 어떤 기회들을 얻을 수 있는가? _41 실패관리 전략의 스펙트럼: 과거지향적, 또는 미래지향적 접근방법 _43 실패에 대응하는 네 가지 전략옵션 _44 질문2. 실패를 활용할 준비가 얼마나 잘 되었는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49 실패로부터 배우기 위한 다섯 가지 단계 _49 제1요인: 실패를 사전에 예견할 수 있나? _50 제2요인: 실패의 혜택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나? _51 실패관리를 위한 세 가지 종류의 준비 모델 _51 실패관리의 세 가지 준비 모델이 적용되는 맥락들 _56 실패관리: 숨겨진 축복과 함께 일하기 57 참고문헌 _59 CHAPTER 03 성공관리: 성공의 함정을 넘어 역동적 지속가능성으로 ∙∙∙ 이준수, 이승주 성공, 지속가능한 경영의 걸림돌 61 성공의 함정 1: 내부 의사결정의 왜곡 62 인지 _63 목표 설정 _64 추론, 귀인(歸因) _66 내부 관계 _68 투자 _69 성공의 함정 2: 외부 환경과의 부정적 관계 71 고객 _71 공급자, 협력자 _73 일반 대중 _74 규제자, 경쟁자 _74 성공의 함정에 대한 처방 76 성공관리에 있어서 조직의 목표 _76 조직 관리를 위한 ‘명사’: 전략과 검증 _77 조직 관리를 위한 ‘형용사’: ‘전략과 검증’의 특성 및 방향 _78 실패관리를 통한 성공관리 86 참고문헌 _89 CHAPTER 04 균형적 SWOT: 실패관리와 성공관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SWOT 분석∙∙∙ 이준수, 이승주, 정권 SWOT 분석에 대한 재고찰 91 실패관리와 성공관리 93 실패관리(Failure Management, FM) _93 성공관리(Success Management, SM) _94 FM과 SM을 통하여 균형적인 SWOT 분석하기 95 실패관리를 통한 균형적 SWOT 분석 96 실패의 긍정적인 영향 다루기 _96 사례1: iPhone 4s _97 사례2: 포스트잇 _98 사례3: 미-소 우주 경쟁 _99 사례4: 유도 경영 _101 성공관리를 통한 균형적 SWOT 분석 103 성공의 부정적인 영향 다루기 _103 사례1: CVS _103 사례2: 테슬라 _105 사례3: 코스트코 _106 사례4: 윈스턴 처칠 _107 ‘기회의 창’을 열기 위한 균형적 SWOT 분석 109 참고문헌 _111 COVID-19 시대에 쓰는 맺음말 _113 찾아보기 _115-
dc.format.extent130-
dc.languageKOR-
dc.publisher박영사-
dc.title실패관리와 성공관리: 실패의 유익함과 성공의 해로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dc.title.alternativeFailure Management[FM]&Success Management[SM]-
dc.typeBoo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준수-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승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권-
dc.identifier.urlhttp://www.pybook.co.kr/mall/book/pys?goodsno=5121&ssort=&ppt=&page=&query=%EC%8B%A4%ED%8C%A8%EA%B4%80%EB%A6%AC%EC%99%80%20%EC%84%B1%EA%B3%B5%EA%B4%80%EB%A6%AC-
dc.type.docType저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