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정부소통역량강화를위한공무원성과관리제도의선행요인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towards Government Communication Capacity : O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the Republic of Korea

이태준

  • 0 WEB OF SCIENCE
  • 0 SCOPUS
  • 762 ITEM VIEW
  • 0 DOWNLOAD
Abstract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열린정부 패러다임 중심의 공거버넌스 생태계가 조성되면서 투명성, 개방성, 공정성, 책임성, 대응성 중심의 정부 소통역량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소통역량지수평가제도는 중앙정부 소통의 질과 공무원 PR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제도적 차원에서 한 단계 끌어올리는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효과성 및 윤리적 거버넌스의 질을 강화시키고 정부신뢰와 정책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소통역량 성과관리 제도의 공공관리 전략과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식약처 소통역량지수 평가제도의 효과성과 영향요인의 관계 및 영향력을 조직구성원의 인식과 태도를통해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제도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선행요인들을 인구통계학적, 개인심리학적, 조직문화적, 평가제도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인들이 제도수용성에 미치는 효과의 상대적 크기를 위계적 회귀분석을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성별(인구통계학적 차원), 직무몰입도(개인심리적 차원), 제도적 리더십(조직문화적 차원), 지표체계의 실용성(평가제도적 차원)이 소통역량지수 평가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차원이 점증적으로 추가 고려될 경우, 소통역량지수 평가제도의 효과성을 보다 충실하게 설명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로부터 안팎으로 거세게 요구되는 정부혁신과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공무원 PR커뮤니케이션의 제도적 관리방안과 세부 실행전략을 논의하였으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정부소통과 관련된 성과평가제도의 과학적 관리기법의 구체적인 방향성과 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ublic officers’ acceptance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aimed at enhancing government communication capacity i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the Republic of Korea. To this en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the current study examines and identifies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multiple constituencies’ acceptance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n light of demographic, psychographic, organizational and performance indicator perspective.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gender, ability to conform and apply, education and training provision and perceived utility are the most meaningful precursor to organizational acceptance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towards government communication capacity. Managerial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strategic insight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researchers and managers hop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in the era of open government partnership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ssue Date
2018-06
Publisher
한국지역언론학회
Keywords(Author)
정부소통역량; 성과관리제도; 제도수용성; 위계적 회귀분석; Government Communication; Civil Servants; Performance Management; Organizational Acceptance; Hierarchical Regression
DOI
10.14696/jcs.2018.06.18.2.185
Journal Title
언론과학연구
Start Page
185
End Page
221
ISSN
1598-265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