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세대별로 투표하는 정당이나 후보는 달라지는가?

최슬기 / 이윤석 / 김석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이윤석-
dc.contributor.author김석호-
dc.date.available2020-02-12T05:53:01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9-12-
dc.identifier.issn1229-036X-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4108-
dc.identifier.uri10.22862/kjsr.2019.20.2.004-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지지 후보/정당으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세대 간 정치행태 차이를 분석한다. 특히 기간효과와 연령효과를 구분해 세대만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는지, 특성이 있다면 세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정치 태도와 행위에 대한 연령효과, 기간효과, 세대효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APC(Age-Period-Cohort) 분석을 활용할 것이다. APC 모형은 분석 가능한 자료만 존재한다면 세대와 연령의 차별적 효과를 드러내는 데 적합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반복횡단면 조사인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분석에서 사용된 여섯번의 전국선거에서 드러난 세대간 정치행태를 분석한 결과 세대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차이는 계층과 지역을 통제한 이후에도 존재하며, 기간효과와 연령효과와도 구분된 독자적인 특성을 지녔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보수 화되는 일반적 경향과는 구분된 세대별 특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특성은 HAPC 분석모형을 통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다름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1964년생 이전세대는 보수성향을 보였다. 특히 나이든 고령의 세대일수록 보수성향이 더 강함이 드러났다. 특히 386세대 전반기에 해당하는 1960~64년생은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를 통제한 후에는 보수 후보를 지지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1965~84년생은 비보수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1970~74년생과 1965~69년생이 가장 비보수적인 정치 행태를 보였다. 진보블럭에 이어, 1985~94년생에게서는 다시 보수성이 강화된 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1990~1994년생은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를 통제하고 나면, 1940년대생에 필적할만큼 강한 보수성이 나타났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사회연구소-
dc.title세대별로 투표하는 정당이나 후보는 달라지는가?-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사회, vol. 20, no. 2, pp. 103-130-
dc.identifier.kciidART00254278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3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03-
dc.citation.title한국사회-
dc.citation.volume20-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슬기-
dc.identifier.doi10.22862/kjsr.2019.20.2.004-
dc.subject.keywordAuthor세대 간 정치행태의 차이-
dc.subject.keywordAuthor세대효과-
dc.subject.keywordAuthor연령효과-
dc.subject.keywordAuthor기간효과-
dc.subject.keywordAuthorAPC 분석-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