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중기재정계획(1998~2002년)의 주요정책과제

김동석(Auth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석-
dc.date.available2019-01-25T01:32:34Z-
dc.date.issued1999-10-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0834-
dc.description.abstract□ 본서는 기획예산위원회(현 기획예산처)의 요청에 따라 1998년 하반기 중 용역과제로 작성되었음. o 기획예산위원회는 본서 및 광범위한 여론수렴을 바탕으로 {중기재정계획(1999~2002년)}을 작성 발표(1999년 1월 12일) □ 본 자료의 목적은 중기적 재정여건을 전망하고 중장기 재정정책의 방향 및 부문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o 급변하는 경제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재정규모 총량과 같은 지표를 사전에 제시함으로써 각 부처나 경제주체들이 국가재정의 중장기 적 예산제약과 정책방향을 보다 잘 인식하고 나름대로 합리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유도 <中期財政運營의 與件> □ 동남아 경제위기로 인해 세계경제는 98년중 일시적으로 침체를 겪은 후 곧 성장세를 회복하여 2000년 이후에는 3% 수준의 성장이 가능할 전망 □ 국내경제는 현재의 금융경색이 조만간 해소되고 현재 진행중인 금융 기업 노동 정부부문의 구조개혁이 차질없이 추진된다면 98년중 성장률 -6% 미만의 극심한 불황을 겪은 후 99년부터는 회복세로 돌아설 전망 □ 일반회계 국세수입은 99년에 5.3%(3.1조원) 증가하고 2000년에는 5.5%, 2001년 및 2002년에는 경상성장률(9.9% 및 9.0%)보다 다소 낮은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中期財政運營方向> □ 향후 재정운영은 당면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잠재력을 유지하는 데 일차적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할 것임. o 특히 금융경색을 해소하고 민간투자 및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금융산업 구조조정이 필수적인바, 이에 필요한 재정자금을 충분히 제공 □ 당분간은 대규모의 재정적자가 불가피하나, 재정적자가 지속될 경우 국채누적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 o 70년대 이후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이자부담 증가 → 재정적자 확대 → 국채 발행 → 이자부담 증가]의 악순환 형성 □ 향후 정책대응에 있어서는 세출증가 억제에 일차적인 노력을 경주해야 함. o 세출증가 억제가 아닌 세입확대를 통해 균형재정을 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될 수 있으나, 이는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 함. □ 재정의 경기조절기능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세수의 변동이나 특별한 지출요인(금융구조조정 등)을 흡수하는 선에 그쳐야 할 것임. o 재정정책을 통한 적극적 경기안정화는 시차효과, 정치적 예산편성, 자원배분의 왜곡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낳을 가능성 □ 향후 경기안정화의 일차적 임무는 통화정책이 맡는 것이 바람직 o 통화정책은 경기여건 변화에 신속하고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경기예측의 오차 및 시차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음. o 또한 자본시장 개방은 재정정책의 효과성을 약화시키는 반면 통화정책의 효과성은 강화시킴. 세출억제를 위해 [일반세출] 증가율을 2000년 5.5%, 2001년 4.5%, 2002년 4.0%, 2003년 6.0%, 2004년 7.5%로 설정하고 2005년 이후는 경상성장률과 같은 수준으로 설정할 경우 중장기적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 o 여기에서 [일반세출]이란 일반회계 및 재특의 세출 가운데 금융비용 (국채이자, 금융구조조정관련 정부보증채권 이자 및 원금상환비 용)을 제외한 세출로 정의 o 2006년에는 균형재정을 회복하여 국채를 상환하기 시작하며 2015년에는 적자보전용 국채를 모두 상환 □ 재정긴축이 강화되는 가운데 재정지출의 비용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의 강화가 필수적 과제임. o 이를 위해 국방, 교육, 농어촌, 과학기술, 중소기업 등 중요 분야별로 전반적인 정책방향 및 사업목적의 타당성과 예산운용의 효 율성을 점검 □ 예산운용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금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거의 모든 기타기금을 공공기금으로 전환하고 궁극적으로는 일반 및 특별회계와 같이 국회의 세입 세출심의를 받도록 해야 함. o 지방정부의 재정통계도 강화함으로써 중앙 지방 사회보장기금을 통괄하는 일반정부 기준의 재정통계체제를 조속히 정비 <歲入對策>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각종 비과세 감면제도를 축소함으로써 과세기반 확충, 세제 단순화, 탈루가능성 축소, 세수증대 등의 효과를 도모 이와 함께 사업소득의 세원포착률 제고 및 조세체계의 간소화를 추진 <分野別 支援計劃> □ 기능적 분류에 따라 중앙정부 통합재정 세출의 항목별 구성비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국방, 공공질서 및 안전, 교육, 경제 사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보건, 사회보장 및 복지, 이자지출의 비중은 낮은 편 o 경제사업 중 특히 농림수산 수렵부문과 광업 제조업 건설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것은 민간경제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고 통제함 으로써 정책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추진방식을 반영 □ 향후 예산배정에 있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칙을 확립할 필요 o 무조건적인 재정지원의 확대보다는 민간 경제주체들의 경쟁여건을 제고하고 책임의식을 강화함으로써 시장기구를 통해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o 재정지출의 성과관리를 강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예산을 배정하는 결과중심의 예산체계 확립 □ 이러한 두 가지 원칙에 입각하여 교육, 농업, 중소기업, 과학기술 등 각 분야의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그리고 재정지원을 재점검 o 교육분야의 경우 바우처(voucher)제도의 도입, 대폭적 자율화와 분권화 등을 통해 교육서비스 공급자간의 경쟁 촉진 및 소비자 선 택권의 확대를 도모 o 농업, 중소기업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과도한 보호와 지원을 철폐하고 대내외 시장개방을 통해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근본적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o 과학기술, 정보화 등의 분야에서는 우리 수준에 알맞고, 또한 우리의 비교우위를 살릴 수 있는 곳에 투자를 집중하며 투자성과를 수시로 점검-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문 要 約 Ⅰ. 中期財政運營의 與件  1. 世界經濟 / 5  2. 國內經濟 / 7  3. 歲入展望 / 10 Ⅱ. 中期財政運營方向  1. 財政運營의 基本方向 / 13  2. 向後 財政赤字 展望 및 適正 歲出增加率 / 21  3. 重點推進課題 / 28 Ⅲ. 歲入對策  1. 租稅政策方向 / 34  2. 基金財源의 活用方案 / 38 Ⅳ. 分野別 支援計劃  1. 基本方向 / 43  2. 金融構造調整 / 48  3. 社會安全網 構築 / 50  4. SOC 投資 / 53  5. 中小企業 / 56  6. 輸 出 / 58  7. 外國人投資 / 59  8. 科學技術 / 61  9. 環 境 / 62  10. 農漁村 支援 / 64  11. 敎 育 / 67  12. 國 防 / 70  13. 地域均衡開發 / 72 參考文獻 附 錄  1. 財政規模의 國際比較 / 79  2. 金融費用 增加時의 赤字展望 / 81  3. 統合財政의 包括範圍와 財政赤字 / 83  4. IMF 救濟金融 以後 各國의 財政改革 / 88-
dc.format.extent9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개발연구원-
dc.relation.isPartOfSeriesKDI 정책연구시리즈 1999-06-
dc.title중기재정계획(1998~2002년)의 주요정책과제-
dc.typeBoo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동석-
dc.identifier.url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502-
dc.type.docType저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