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고용창출에 관한 연구

기술 혁신과 확산

김동석(Author)

  • 955 ITEM VIEW
  • 0 DOWNLOAD
Abstract

요약 및 결론


(Ⅱ장 1절 경제위기와 실업의 동태적 변화)

가. 문제의 제기

□ 1997년 말 외환위기가 촉발된 이후 실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
- 실업인구는 1997년 10월 45만2천명에서 1998년 3월 137만8천명으로 불과 5개
월 만에 실업자 92만6천명 증가(증가율 200%)
- 이후 실업 증가세는 완화되었으나 1998년 연간 실업인구는 146만3천명(실업
률 6.8%)으로 1997년에 비해 90만7천명 증가(실업률은 4.2%p 증가)

□ 1979~80년의 경제위기와 비교할 때 1998년의 실업 증가는 매우 큰 편
- GDP 증가율은 1979~80년에 7.1%에서 -2.7%로 9.8%p 하락하였고, 1997~98
년에는 5.0%에서 -5.8%로 10.8%p 하락하여 성장률 변화는 유사한 편
- 반면 1979~80년 실업률 상승폭은 1.4%p에 불과한 반면 1997~98년에는
4.2%p로 3배 빠른 수준
※ Okun's Law에 의하면 실업률 상승폭은 2.7%p 수준으로 예측

□ 본고에서는 1997~98년 기간동안 실업이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빠르게 증가한
상황을 실증적으로 분석
- 경제위기 이후 실업의 전개 양상을 노동수요의 감소에 의한 변화와 노동공급
의 증가에 의한 변화 둥 구성별로 분석
- 실증분석 결과는 실업증가의 상당 부분이 노동공급의 증가(적극적인 구직활
동)에 의해 유발되었음을 시사
※ 분석에는 『경제활동 인구조사』(통계청)에서 구성된 개별 근로자의 월별
시계열(monthly panel) 자료를 사용

나. 1997~98년 실업의 전개 양상

□ 실업자 변화는 새로이 실업상태로 진입하는 인구(실업 진입인구)와 실업상태에
서 탈출하는 인구(실업 탈출인구)로 구분되며 각각 두 가지 유형이 존재
- 실업 진입인구는 ① 비경활 상태에서 실업상태로 진입하는 인구, ② 실직으
로 인해 실업상태로 진입하는 인구로 구분
- 실업 탈출인구는 ③ 실업상태에서 취업하는 인구, ④ 구직을 포기하고 비경
활 상태로 퇴장하는 인구로 구분

□ 비경제활동 상태에서 새로이 구직을 시작(실업 상태로 진입)하는 인구는 1997~
98년 기간 동안 매우 빠르게 증가하여 노동공급이 증가하였음을 시사
- 1997년 11월~1998년 12월 기간동안 매월 평균 18만6천명의 비경활 인구가
실업으로 진입(위기 이전에는 매월 평균 4만9천명 수준)
※ 이는 동 기간 평균 실업인구(125만명)의 15%에 달하는 수준
- 비경활 인구의 실업진입은 여성, 장년층, 특히 45~64세 연령층에서 상대적으
로 빠르게 증가

□ 실업으로 진입하는 실직자도 실직인구의 증가 및 실직자 가운데 비경활로 퇴장
하지 않고 실업으로 진입하는 비중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매우 빠르게 증가
- 실직자의 증가는 노동수요의 감소효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실업
진입 비중의 증가는 구직활동이 적극화, 즉, 노동공급의 증가를 반영
- 실직자의 실업진입 비중은 경제위기 이전 20% 수준(1995~97년 평균:남성
34.6%, 여성 10.6%)에서 1998년 5월에는 45%까지 상승하였다가 다소 하락하
였으나 연말에도 30%를 상회
- 이러한 양상은 여성, 30세 이상의 장년층 및 저학력에서 두드러져 비경활에
서 실업으로 진입하는 인구의 증가 양상과 유사

□ 취업을 통해 실업상태에서 탈출하는 비중은 노동수요의 감소를 반영하여 빠른
속도로 하락
- 실업자(구직자)의 취업률은 1996년 28.2% 수준을 보였으나 1997년 후반부터
빠른 속도로 하락하여 1998년 평균 21.7% 수준에 불과 (6.5%p 감소)
- 여성의 취업률 감소가 크고, 고졸자, 청년층의 취업이 상대적으로 더 위축되
고 있으며, 또한 전직 실업자의 취업률이 다소 큰 폭으로 하락

□ 구직에 실패한 구직자(실업자)가 비경활로 퇴장하지 않고 실업상태에 잔류(구직
을 지속)하는 비중(구직 지속률)은 경제위기 기간동안 하락하여 많은 구직 실패
자가 비경제활동으로 퇴장하고 있음을 시사
- 구직 지속률은 1996년 91.9%에서 1997년 89.6%, 1998년 86.1%로 크게 하락
하였고, 1998년 중반 다소 상승하다가 연말에 다시 큰 폭으로 하락
※ 구직 지속률의 하락은 비경활 인구 및 실직자의 실업진입 증가로 나타난
노동공급의 증가를 일부 상쇄하는 효과
- 여성, 고졸자 및 청년층(30세 미만) 실업자 등 취업률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
던 유형의 구직자에게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어 실망 실업자의
효과(discouraged worker effect)를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
※ 여성의 경우는 비경활 인구의 실업진입도 증가하였던 점을 감안할 때 시장
성(marketability) 결여에 따른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

다. 실업증가의 성분별 기여도

□ 1997~98년 실업 증가를 시장적 요인에 의해 유발된 부분과 비시장적 요인에 의
해 유발된 부분으로 구분
- 시장적 요인에 의한 부분은 실직증가, 취업률 하락 등 노동수요 감소의 직접
효과와 임금하락 등으로 인해 가구소득이 하락하여 유발된 부가노동자 효과
(added worker effect), 즉 노동수요 감소의 간접효과를 포함
- 비시장적 요인에 의한 부분은 이러한 노동수요 감소의 직·간접적 효과를 배
제한, 순수히 노동공급의 증가에 의해 실업이 증가한 부분

□ 1997~98년 15~64세 연령층의 실업자 증가(836천명)에서 시장적 요인(노동수요
요인)에 의해 유발된 증가분은 555천명으로 추정되어 약 전체 증가의 66.4%를
차지(<표Ⅳ-1> 참조)
- 281천명(33.6%)은 순수한 노동공급 증가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추정되며, 특
히 이 가운데 실직자의 실업진입 증가에 의한 부분이 313천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비경활 상태에서 실업으로 진입하는 인구도 증가하였지만, 실업자 가운데
비경활 상태로 퇴장하는 인구가 더 큰 폭으로 증가

라. 비시장적 요인(노동공급 증가요인)의 추정

□ 노동공급 증가에 의한 실업증가는 곧 실업의 가치가 비경제활동의 가치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상승하였다는 의미
- 실업의 상대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대표적 비시장적 요인으로는 고용보험의
실업급여를 고려할 필요

□ 1998년도 실업급여로 인해 실업이 증가한 효과는 미미하였던 것으로 추정
- 1998년 실업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제위기 초반의 실업증가는 대부분 중
소기업, 특히 영세기업의 대규모 도산·폐업에 의한 대량 실직을 반영하고
있고 이러한 실직자의 대부분이 실업급여 수혜대상에서 제외
※ 의무가입기간 조항에 따라 10~29인 기업의 경우 1998년 7월 이후에 실직
한 근로자, 5~9인 기업의 경우에는 1998년 9월 이후에 실직한 근로자만이
지급대상(1~4인 기업의 1999년 4월 이후 실직자만 해당)
- 실업급여의 주요 수혜자인 대기업 근로자의 경우 본격적인 구조조정은 1998
년 중반 이후 진행

□ 한편 일반적으로 해고 및 폐업에 의한 실직자는 다른 사유로 인해 실직한 근로
자에 비하여 구직활동에 보다 적극적
※ 1998년도의 경우 해고·폐업에 의한 실직 인구 가운데 실업진입률은 65.2%
로 나머지의 33.9%보다 거의 두 배 높은 수준이었고, 전체 실직자에서 해
고·폐업에 의한 비중은 1996년 15.0%에서 1998년 27.2%로 증가
- 1998년 실직자의 실업진입률이 19.3%p 증가한데서 해고·폐업에 의한 실직
자 증가에 의해 유발된 부분은 3.0%p(15.5%)에 불과
※ 이 효과가 전체 실업자 증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에 불과

□ 실업종합대책이 실업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상승시켰을 가능성
- 실직자의 실업 진입률 상승은 1998년 후반보다는 전반에 집중되어 실직자의
기대형성 효과를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
- 한편 비경제활동의 실업진입률 상승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실업진입이
공공근로사업 참여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


(Ⅱ장 2절 경제위기 이후의 고용창출 유형분석)

가. 문제의 제기

Issue Date
2000-12
Publisher
한국개발연구원
Contents
Ⅲ.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

 4. 기술혁신과 확산 .....(김동석)
  가. 개관
  나. 기술혁신의 경제적 효과 : 선진국의 경험
  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효율적인 과학기술 정책
Pages
540
URI
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0833
URL
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83&amp;pg=17&amp;pp=10&amp;mcd=00100200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