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2003~2012

한진희 / 최경수 / 김동석 / 임경묵(Auth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진희-
dc.contributor.author최경수-
dc.contributor.author김동석-
dc.contributor.author임경묵-
dc.date.available2019-01-25T01:32:33Z-
dc.date.issued2002-12-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0830-
dc.description.abstract□ 보도자료 본 연구는 생산함수접근법을 토대로 과거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이를 분석하고 향후 2003~2012년 기간 중 잠재성장률을 전망한다. 본 연구의 주된 의의는 경제위기를 경험한 한국경제의 향후 잠재성장률이 과거의 추세와는 달라질 수 있다는 인식하에서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에 일어난 구조적 변화를 감안하여 향후 잠재성장률 전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과거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1980년대 7.8% 수준에서 1990년대 전반기 6.6%, 1990년대 후반기 6.0% 수준으로 꾸준히 하락하여 온 것으로 추정되었다. 1980년대 이후 1990년대 전반기까지의 잠재성장률 하락은 총요소생산성 및 취업자수 증가율의 둔화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기의 잠재성장률의 하락은 물적자본 증가율의 하락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12년 기간 중 잠재성장률 전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동공급의 총량적 측면뿐 아니라 교육수준, 연령수준, 성별 구성 등 노동공급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예측 결과, 인구증가율의 하락, 고령화, 여성 저학력 인력의 고학력화 등에 따라 향후 취업자수 증가율은 빠르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취업자 1인당 인적자본은 향후 중장년층의 고학력화가 진행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다소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편 저축률은 향후 가계대출의 급등세가 진정되고 피부양인구비율도 크게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최근 하락한 수준(27% 내외)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연평균 자본스톡 증가율도 5.5~5.8% 수준으로 경제위기 이전에 비해 이미 하락한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최근 학계의 연구결과를 감안하여 제도의 질과 대외개방에 대한 시나리오별로 전망하였으며,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속도 및 이를 좌우할 제도의 질 및 대외개방도는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좌우할 주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제도의 질 개선 및 대외개방의 지속적 추진 여부에 따라 2003~2007년 기간 중 4.8~5.4% 수준을 보이고, 2008~2012년 기간 중 4.5~5.1%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구조개혁의 지속적 추진에도 불구하고 향후 잠재성장률이 과거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물적자본, 노동공급 등 요소투입의 증가율이 현저히 둔화될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분석자료 및 방법론을 달리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도 향후 잠재성장률 전망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10년 이내에 한국경제가 요소투입형 성장에서 생산성 주도의 성장으로 전환될 것이며, 따라서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는 경제의 제도적 측면도 생산성 주도의 성장시대에 걸맞게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생산적 행위에 대한 사회전체의 유인체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는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제도의 질 개선 및 대외개방도 확대는 생산적 행위에 대한 유인을 강화시킴으로써 총요소생산성 및 잠재성장률 제고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1) 1981~2000년 기간 중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2) 향후 2003~2012년 기간 중 잠재성장률을 전망함을 목적으로 함. 아울러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좌우할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핵심적 정책방향을 제시 2. 과거 잠재성장률의 추이: 1981~2000 □ 잠재GDP의 개념: 잠재GDP는 한 경제가 주어진 기술여건 하에서 생산요소들을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활용함으로써 얻어지는 GDP의 수준으로 정의 □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1980년대에는 7.8% 수준이었으나 1990년대 전반기 6.6%, 1990년대 후반기 6.0% 수준으로 꾸준히 하락하여 온 것으로 나타남. 노동, 인적자본, 물적자본 등 요소투입의 잠재성장률 기여율은 1980년대 78%, 1990년대 84% 내외로서 과거 한국경제의 성장이 요소투입형 성장이었음을 뒷받침 □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전반기까지의 잠재성장률 하락은 총요소생산성 및 취업자수 증가율의 둔화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기 잠재성장률의 하락은 물적자본 증가율의 하락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남. 취업자수의 잠재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1980년대에 1.7%p 수준을 보이다가 1990년대 전반기에는 1.3%p, 후반기에는 1.0%p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하락 취업자일인당 인적자본의 잠재성장률 기여도는 0.8~0.9%p 수준을 유지 물적자본의 기여도는 1980년대에 3.6%p 수준이었으나 1990년대 전반기에 4.0%p로 상승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기에는 외환위기 이후 투자위축을 반영하여 2.4%p로 크게 하락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1980년대에 1.7%p 수준에서 1990년대 전반기에 0.4%p로 크게 하락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기에는 1.7%p로 상승하여 물적자본 축적 둔화에 의한 성장둔화를 완충 - 1990년대 전반기 물적자본 증가율 상승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하락은 외환위기 이전 과잉투자를 뒷받침하며, 1990년대 후반 물적자본 증가율 하락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상승 현상은 위기 이후 과거의 요소투입형 성장패턴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 3. 향후 잠재성장률 전망 결과: 2003~2012 □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주로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속도에 의해 좌우될 것이며,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속도는 구조개혁을 통한 제도의 질 개선 및 대외개방 확대의 지속적 추진 여부에 달려 있음. 48개국 62개 금융위기 사례분석 결과 위기 이전 고(저)성장국이 위기 이후에도 반드시 고(저)성장을 지속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성장률 변화는 총요소생산성의 향상속도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분석됨. 최근 학계의 연구를 종합하면 총요소생산성의 향상속도는 제도의 질 및 대외개방 등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하부구조의 개선여하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남. □ 제도의질 개선 및 대외개방 확대를 위한 구조개혁의 지속적 추진시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3~2007년 기간 중 5.4% 내외를 보이고, 2008~2012년 기간에는 5.1%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구조개혁의 지속적 추진에 따라 2003~2007년 기간 중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1990년대 후반기에 비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잠재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은 물적자본, 취업자수 등 요소투입 증가율의 둔화에 기인 2008~2012년 기간 중 잠재성장률의 추가적 하락은 인구증가율 하락 및 고령화에 따른 취업자수 증가율의 하락에 주로 기인 취업자 일인당 잠재GDP 성장률은 향후 10년간 4.6% 내외로 1990년대 후반기(4.7%)와 비슷한 수준 유지 전망 - 또한 성장의 질적 측면에서 향후 한국경제는 과거의 요소투입형 성장에서 탈피하여 생산성 주도의 성장패턴을 나타낼 것임. □ 그러나 제도의 질 개선 및 대외개방 확대를 위한 구조개혁의 지속적 추진에 실패할 경우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5%를 하회할 가능성 향후 10년간 연평균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1990년대 후반기와 비슷한 1.5% 수준을 보일 경우 잠재성장률은 2003~2007년 기간 중 4.8% 내외를 보이고, 2008~2012년 기간 중에는 4.5% 내외로 더욱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4.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핵심적 정책방향 □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속도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며,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는 경제정책 및 제도도 총요소생산성 향상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 향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에서 생산적 행위에 대한 유인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핵심적 요인은 제도의 질 개선 및 대외개방도의 확대 여부임. □ 제도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법질서의 유지를 통한 계약사회 구축 및 재산권 보호, 부정부패 척결, 시장감독자로서의 관료의 능력 배양 등을 핵심적인 정책과제로 추진할 필요 불법행위가 처벌되지 않고 부정부패가 만연하거나 유?-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잠재산출량의 추정  2.1. 잠재산출량의 개념 및 방법론  2.2. 성장회계  2.3 잠재GDP 및 GDP갭 제3장 잠재성장률 전망  3.1. 금융위기와 경제성장  3.2. 전망 방법론 개요  3.3. 노동공급의 전망   3.3.1 노동공급 예측의 방법   3.3.2 노동공급 예측의 절차   3.3.3 노동공급 전망의 결과 및 평가  3.4. 인적자본지수전망  3.5. 저축률 결정요인 분석 및 전망   3.5.1 한국의 저축률 개요 및 저축률의 결정요인   3.5.2 한국의 저축률 결정요인 분석  3.6.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전망   3.6.1.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   3.6.2. 향후 10년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3.7. 잠재성장률 추정 결과 제4장 Denison 방식의 성장회계를 이용한 잠재성장률 전망  4.1. 개요  4.2.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   4.2.1. 국민소득의 부문별 분류   4.2.2. 비주택기업부문의 노동투입 및 자본투입   4.2.3. 비주택기업부문의 소득배분율과 총요소투입(total factor input)   4.2.4. 비주택기업부문의 요소 단위당 국민소득   4.2.5. 성장요인 분석  4.3. 향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4.3.1. 잠재 국민소득의 추정   4.3.2. 향후의 잠재 국민소득 성장전망   4.3.3. 향후의 잠재 국내총생산 성장전망  4.4. 분석결과의 비교 제5장 요약 및 결론-
dc.format.extent9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개발연구원-
dc.relation.isPartOfSeriesKDI 정책연구시리즈 2002-07-
dc.title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2003~2012-
dc.typeBoo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동석-
dc.identifier.url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6858&pg=4&tema=A02&pp=10-
dc.type.docType저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