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최근 단기 유동성 증가에 대한 판단

Short-term Liquidity Expansion and Implications for Monetary Policy in Korea

김현욱(Author)

  • 1206 ITEM VIEW
  • 0 DOWNLOAD
Abstract

□ 최근 우리 경제의 단기 유동성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와 이에 따른 자산가격 급등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 작년 4/4분기 이후 국제금융위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적극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본원통화 증가율이 급등한 가운데, 최근 M1 증가율의 상승폭이 확대

- 금년 2/4분기 들어서 주가가 다소 빠르게 회복되고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급등하는 등 자산시장 과열 조짐이 나타나면서 시중자금 단기부동화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점증


□ 단기 유동성의 상당 부분이 실물경제활동에 따라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의 증감이 자산가격 급등락을 초래하는 직접적인 요소라고 하기는 어려움.

- 다만, 명목GDP 등 실물경제활동의 부침에 따른 영향을 제어한 이후의 단기 유동성 증감은 자산가격 등락을 설명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


□ 먼저 명목GDP 대비 M1 비율은, 단기 유동성 상황이 당장 우려할 정도는 아니나, 향후 동 비율이 높아지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자산시장이 과열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을 시사

- 동 비율은 2007년 하반기 이후 장기추세선을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08년 4/4분기부터 빠르게 상승하여 최근에는 2002년경 가계신용 버블이 형성되었던 시기의 초기단계와 유사한 정도로 장기추세선을 상회


□ M1 증가율과 명목GDP 성장률을 이용한 간단한 회귀분석과 이들 증가율 간의 격차도 최근 단기 유동성이 통상적인 범위를 상회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

- 이러한 모습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의 코스닥시장 버블 및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의 가계신용 버블이 형성되던 시기에서 발견됨.


□ 따라서 현재의 단기 유동성 상황이 위험한 수준은 아니지만, 향후에도 빠른 증가세가 유지되어 자산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초래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특히, 경기회복 국면에서 확장적 통화정책이 장기간 유지되는 경우, 자산시장 버블 등 유동성 증가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해 불필요한 경기 불안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유의할 필요

Issue Date
2009-09
Publisher
한국개발연구원
Contents
1. 서 론

2. 단기자금의 부동화 가능성에 대한 판단

3. 단기 유동성 증가와 자산가격 버블 가능성에 대한 판단

4. 결론 및 시사점

[부 록] 단기 유동성이 800조원 규모라는 주장에 대한 판단
Pages
11
Series Title
KDI Forum 제217호(2009-10)
URI
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0806
URL
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1108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