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최근 외화유동성 상황 및 대외지급능력에 대한 판단과 정책적 시사점

김현욱 / 성태윤(Autho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욱-
dc.contributor.author성태윤-
dc.date.available2019-01-25T01:32:18Z-
dc.date.issued2003-03-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30788-
dc.description.abstract<문제의 제기> □ 최근 금융시장이 동요하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외화유동성 상황과 대외지급능력을 중심으로 외화자금시장 상황을 보다 면밀히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됨. ○ 외채 및 외환보유액 등의 통계를 이용하여 외화유동성 상황 및 대외지급능력을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화유동성 감독 및 환율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 <외화자금시장 상황 및 외채구조의 변화> □ 2003년 3월 이후 외평채 가산금리 및 국내은행의 단기외화차입 가산금리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현재의 가산금리 상승만으로 은행의 외화차입·차환에 결정적 문제가 있다고 하기는 어려움. ○ 그러나 가산금리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운 상황 □ 총외채는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에서 2002년 들어 상승세로 반전하였는데, 이는 주로 금융부문의 외화차입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 이에 따라 단기외채 규모 및 총외채 대비 비중이 모두 상승하는 모습 <단기외채와 대외지급능력> □ 최근의 가산금리 추이는 주변 경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외화유동성에 보다 유의해야 함을 시사 ○ 또한 단기외채의 규모와 비중이 상승한 것은 경제에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외화유동성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 외화유동성 수준은 일차적으로 단기순외채의 변화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음. ○ 그러나 유사시 단기대외채권을 회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단기대외채권이 단기외채를 상회한다 하더라도 외화유동성이 부분적으로 경색될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외화유동성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 □ 따라서 단기외채는 그 규모 자체만으로도 경제에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외화유동성 상황과 관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 ○ 최근 우리나라의 단기외채가 대외거래와 관련된 경제변수들과의 관계로 추정되는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는 것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됨. □ 그러나 앞으로도 환율의 신축적 변동을 수용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외화자금시장에 대한 지속적 점검을 통해 외화유동성 상황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대외지급능력 자체에 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일단 낮은 것으로 판단됨. ○ 최근 단기외채의 비중이 상승하였고 외화자금의 조달여건이 다소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상당한 규모의 외환보유액이 축적되어 있다는 점은 대외지급능력 측면에서 1997년 당시와 분명히 다른 상황임. <정책적 시사점> □ 이를 고려할 때,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감독은 유사시 외화유동성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대외지급능력 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 ○ 현행 외화유동성 평가기준을 볼 때, 단기외화부채가 아무리 커도 이에 상응하는 단기외화자산을 보유하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임. ○ 따라서 유사시 외화유동성이 갑자기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단기외채의 내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감시함과 동시에, 외화유동성 지도비율의 상향 조정 또는 비율산정에 있어서 외화자산 건전성 요건 강화 등의 방안을 고려할 필요 □ 또한 외화유동성과 관련하여 앞으로도 환율의 신축적 변동을 수용하고 외화자금시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자본유출 유인을 감소시키고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정책수단이라는 점은 유념해야 함. ○ 이를 전제로 할 때, 1,200억달러를 상회하는 외환보유액으로 인해 대외지급능력 자체에는 문제없다는 주장이 비로소 의미가 있음. ○ 물론 사전에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자본유출의 유인을 감소시키고 외환시장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궁극적인 정책수단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을 것임. □ 외화유동성의 평가를 위해서는 단기외채의 비중뿐만 아니라 단기외채 규모 자체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 ○ 대외채권의 경우 그 성격상 유사시에 외채상환을 위한 유동성으로 역할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임.-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문제의 제기 2. 외화자금시장 상황 및 외채구조의 변화  가. 외평채 가산금리 및 외화자금 조달여건  나. 외채구조의 변화 3. 단기외채와 대외지급능력  가. 단기외채와 외화유동성  나. 외환보유액과 대외지급능력 4. 정책적 시사점-
dc.format.extent1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개발연구원-
dc.relation.isPartOfSeriesKDI Forum 제163호(2003-01)-
dc.title최근 외화유동성 상황 및 대외지급능력에 대한 판단과 정책적 시사점-
dc.title.alternativeForeign Exchange Liquidity and External Payment Capabilities of Korea-
dc.typeBoo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현욱-
dc.identifier.url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6984-
dc.type.docType저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