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건강보험제도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자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자은-
dc.date.available2018-12-06T04:45:55Z-
dc.date.created2017-12-29-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issn1738-7302-
dc.identifier.urihttp://archives.kdischool.ac.kr/kdi_dev/handle/11125/287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건강보험 제도 만족도의 결정 요인을 소득, 의료이용 경험, 그리고 건강보험 가입 여부의 객관적 요인과 전반적인 정서상태를 반영하는 생활만족도라는 주관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건강보험료 미납에 미치는 제도 만족도의 영향을 평가하는 동시에, 건강보험 제도 만족도와 재정 기여 동기 그리고 수행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만족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재정 확충에 대한 공공의 인식과 태도 일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 2차 자료에 근거한 실증분석 결과, 만족도는 소득, 건강보험 가입, 교육수준, 그리고 건강상태와 음의 관계를, 생활만족도와는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의 미납은 보장성에 대한 낮은 만족도, 그리고 낮은 소득과 불안정한 고용상태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태도 일관성에 대한 증거는 찾지 못했다. 본 연구결과는 만족도의 결정과 보험료 납부에 있어서 소득변수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며, 낮은 만족도가 재정 불안정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 만족도가 제도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아닐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만족도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수단을 집행함에 있어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ing factors of system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06. In both bivariate and multilvariate analyses, we uniformly find that income level, NHI enrollment, education leve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hereas the emotional distress in daily living and having chronic diseases lead to lower satisfaction level. Further, the delay in premium pay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 on the satisfaction level in regard to whether the NHI plan appropriately provides financial protection for needed care. Also unstable employment type and voluntary payement seem to be related with not paying premium. There is, however, no evidence for attitude consistency among the expectation on the governmental contribution in health care financing, motivation in tax payment, and actual premium payment. Findings imply that income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system satisfaction and premium payment and that the satisfaction measures may not necessarily reflect the objective quality of the NHI plan which would be assessed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service utilization. To fully address adequacy and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the NHI system, further study should consider other relevant factors such as out-of-pocket payment and private insurance enrollment status.-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dc.subjectNational Health Insurance-
dc.subjectSystem Satisfaction-
dc.subjectKorea Welfare Panel Survey-
dc.subject건강보험 만족도-
dc.subject태도 일관성-
dc.subject한국복지패널-
dc.subjectNational Health Insurance-
dc.subjectSystem Satisfaction-
dc.subjectKorea Welfare Panel Survey-
dc.title건강보험제도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15, no.2, pp.21 - 45-
dc.identifier.kciidART001404055-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4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1-
dc.citation.title보건경제와 정책연구-
dc.citation.volume15-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신자은-
dc.type.docTypenull-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