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세대간 애정적 결속에 있어서 부계와 모계의 비교 연구

Choi, Seul Ki / Choi, Sae Eu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Choi, Seul Ki-
dc.contributor.authorChoi, Sae Eun-
dc.date.available2018-12-06T04:44:25Z-
dc.date.created2018-01-08-
dc.date.issued2012-03-
dc.identifier.issn1229-9219-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286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세대간 애정적 결속의 양상과 결정요인을 부계와 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대간의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을 통한 기능적 결속이나 잦은 만남 내지 연락을 통한 교류적 결속 거주지의 근접성을 바탕으로 한 구조적 결속의 양상과 변화에 대한 연구들과 달리 세대간 친밀감을 나타내는 애정적 결속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가 조부모에 대해 느끼는 정서적 친밀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애정적 결속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기능적, 교류적, 구조적 결속 같은 요인들이 어떻게 애정적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1년 7월에 조사된 세대별 문화경험과 문화인식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자녀가 있는 기혼이면서 양가 부모중 적어도 한분씩은 생존해 있는 30~59세 응답자 3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론으로는 ‘양가 조부모에게 느끼는 친밀감이 같다’라는 응답을 준거집단으로 삼은 다항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부계와 모계간에 변수별 영향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보았다. 그 결과 부계에서는 경제적 지원 관계가 애정적 결속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으로 드러난 반면, 모계에서는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도구적, 정서적 지원도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emotional closenes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Korean families with a focus on the lineage. The effects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normative aspect as well as intergenerational financial,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ccounting for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affective solidarity.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using the data of "Survey on Generational Solidarity and Differences in Cultural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Korea," and a series of multinomial regression model were conduct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salient factor to boost grandchildren's affective solidarity with paternal grandparents is financial transfer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By contrast, all type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s affected grandchildren's emotional closeness toward maternal grandparents. Geographical proximity was associated with the affective solidarity between grandchildren and maternal grandparents. The effects of normative solidarity were not shown at both lineages.-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조사연구학회-
dc.title세대간 애정적 결속에 있어서 부계와 모계의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ntergenerational Affective Solidarity in Korean Families-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조사연구, vol. 13, no. 1, pp. 89-112-
dc.identifier.kciidART00164577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12-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89-
dc.citation.title조사연구-
dc.citation.volume13-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oi, Seul Ki-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5779-
dc.subject.keywordAuthor애정적 결속력-
dc.subject.keywordAuthor세대간 지원-
dc.subject.keywordAuthor조부모-손자녀 관계-
dc.subject.keywordAuthor부계-
dc.subject.keywordAuthor모계-
dc.subject.keywordAuthor양계화-
dc.subject.keywordAuthoraffective solidarity-
dc.subject.keywordAuthorintergenerational support-
dc.subject.keywordAuthorgrand parents and grand children relation-
dc.subject.keywordAuthorlineag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