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구교준 / 임재영 / 최슬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교준-
dc.contributor.author임재영-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date.available2018-12-06T04:43:18Z-
dc.date.created2018-01-09-
dc.date.issued2014-06-
dc.identifier.issn1226-2536-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28619-
dc.description.abstract행복의 결정요인은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Easterlin이 40년 전 ‘Easterlin 패러독스’로 의문을 던진 이래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소득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이나 유럽국가들의 행복수준은 지난 수십년 간 변화가 없었고 소득이 낮은 중남미 국가들의 행복수준이 소득이 높은 OECD 국가들의 행복수준에 이르거나 그 이상이 되는 등의 예는 소득과 행복 간의 관계를 새롭게 고찰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본 연구는 Sen이 제시한 삶의 역량 개념을 교육과 자유로 조작화하여 삶의 역량이 소득이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수로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즉 소득과 행복 간의 관계는 삶의 역량의 수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Easterlin 패러독스는 삶의 역량이 가지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득 중심의 정책목표 설정이 사회적으로 상당한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정책목표 설정에 있어 소득과 함께 삶의 역량 수준도 함께 고려하는 좀 더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What determines the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society has been probed widely in a large number of social science fields. In particular, the role of income as a determinant of happiness has attracted significant scholarly attention since Easterlin’s seminal research appeared 40 years ago. Empirical evidenc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showed that consistent growth in income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did not lead to a corresponding increase in happiness in those countries. This study reexamines this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ole of capability, a concept introduced and developed by Sen and Nussbaum, as a mediating factor that controls to what degree income influences the level of happiness.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increased income leads to happiness (i.e., marginal effects of happiness) is mediated by the level of capabilities in a society. The results suggest that income-based policy goals may create social inefficiency. Therefore, capabilities as well as income need to be considered in policy goal setting.-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행정학회-
dc.title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dc.title.alternativeDeterminants of Happiness: Reevaluating the Role of Income and Capability-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행정학보, vol. 48, no. 2, pp. 317-339-
dc.identifier.kciidART00189507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339-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317-
dc.citation.title한국행정학보-
dc.citation.volume48-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슬기-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95072-
dc.subject.keywordAuthor행복-
dc.subject.keywordAuthor삶의 질-
dc.subject.keywordAuthor삶의 역량-
dc.subject.keywordAuthorEasterlin 패러독스-
dc.subject.keywordAuthorHappiness-
dc.subject.keywordAuthorQuality of Life-
dc.subject.keywordAuthorCapability-
dc.subject.keywordAuthorEasterlin Paradox-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