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대중문화와 세대: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수정 / 최슬기 / 최샛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최샛별-
dc.date.available2018-12-06T04:43:01Z-
dc.date.created2018-01-09-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issn1225-9993-
dc.identifier.urihttps://archives.kdischool.ac.kr/handle/11125/286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는 대중문화가 세대간 단절과 갈등의 장(場)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중문화 영역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본 연구가 부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대중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안들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세대간 문화 경험과 문화 갈등> 연구단이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대별 문화경험과 문화인식에 관한 조사’ 자료 중 대중문화에 대한 생각을 묻는 문항을 분석하였다. 크게 ‘한국 대중문화의 긍정적 영향력’, ‘한국 대중문화의 부정적 영향력’, ‘대중문화의 향유층과 사회적 필요성’, 그리고 ‘외국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된 총 15개 항목에 대해 10세 간격으로 구분한 연령대별 일원배치분산분석을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중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은 세대에 따라 20대, 3, 40대, 50대, 그리고 6, 70대로 구분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양적 자료를 분석하여 대중문화 영역이 정치, 경제, 사회 영역과 함께 중요한 세대 구분의 장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대중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가 단순히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대립구도 혹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부정적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기존의 가정들과 대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Popular culture, becoming increasingly influential in South Korean society, canbe a place of generational gap and conflict. Yet,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that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area of popular culture. This studyattempts to 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rious popular culture-relatedmatter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about opinions on popularculture in the data from ‘Investigation on Generational Cultural Experience andCultural Conflict,&apos; drawn from 1,500 male and female adults across Korea,executed in 2011 by the Generational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ConflictResearch Group.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analyze a total of 15 questions, including ‘positive influence of Korean popularculture,&apos; ‘negative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apos; ‘consumers and necessityof popular culture,&apos; and ‘awareness on foreign popular culture.&apos; The result showedthat South Korean&apos; awareness of popular culture is manifested as a generational diversity according to people in their 20s, 30-40s, 50s and 60-70s. Through ananalysis of nationwide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realm ofpopular culture can be an important place of generational differentiation alongwith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presents a contradictory result from the previous assumptions that saw thedifferences in the generational awareness of popular culture as merely an oppositecomposition or that predicted one would have a negative awareness of popularculture as one gets older.-
dc.languageKorean-
dc.publisher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dc.title대중문화와 세대: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Popular Culture and Generation: A Study of the Perceptions of Popular Culture Among Generations-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사회과학연구, vol. 27, no. 1, pp. 69-94-
dc.identifier.kciidART00190079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94-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title사회과학연구-
dc.citation.volume27-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슬기-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0792-
dc.subject.keywordAuthor대중문화-
dc.subject.keywordAuthor세대-
dc.subject.keywordAuthor인식차이-
dc.subject.keywordAuthor한국대중문화-
dc.subject.keywordAuthorPopular Culture-
dc.subject.keywordAuthorGeneration-
dc.subject.keywordAuthorAwareness Difference-
dc.subject.keywordAuthor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lick the button and follow the links to connect to the full text. (KDI CL members only)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상단으로 이동